서울지하철, 교통약자 모바일서비스 신설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지하철, 교통약자 모바일서비스 신설
도착역 알림, 내 위치 안내 등…1역1동선 설치 노력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21-04-19 09:13:08
서울교통공사가 지하철(1~8호선) 운행정보를 안내해주는 ‘또타지하철’ 모바일 앱에 영유아·노약자·임산부·장애인 등 교통약자에 특화된 기능을 추가한다.
또한 장애인 이동권과 가장 직결돼 있는 지하철역(1~8호선) 승강시설(엘리베이터) 설치를 확대해 ‘1역 1동선’ 확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서울교통공사가 교통약자 모바일 서비스 ▲지하철 승강시설 추가 설치 ▲BF인증 획득한 전동차 도입 등 교통약자도 불편 없이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확대해나간다고 19일 밝혔다.
먼저 서울지하철 공식 모바일앱인 ‘또타지하철’에 교통약자를 위한 기능을 새롭게 추가한다.
추가 기능은 ▲도착역 알림 서비스 ▲실시간 열차 운행정보 ▲승강시설 고장알림 서비스(4월 하순 서비스 예정) ▲내 위치 안내 서비스(6월 서비스 예정)다.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9000여개의 블루투스 기기 ‘비콘(Beacon)’을 활용해 정보를 제공한다.
‘도착역 알림 서비스’는 지하철 탑승 후 내릴 역을 앱에 등록하면 ‘비콘’이 열차위치를 실시간으로 자동 파악해 해당 역에 도착 시 휴대폰 문자‧음성을 통해 알려준다.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구간(1~8호선) 뿐 아니라 코레일(한국철도공사) 구간도 이용할 수 있다.
‘내 위치 안내 서비스’는 역사 내 주요 시설물을 안내하는 서비스다. 개찰구에 서면 “00역 타는 방향”이라고 문자‧음성으로 알려주거나 역내 화장실, 출구 위치‧방향 등을 알려준다. 시청각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이동권과 가장 직결돼 있는 지하철역(1~8호선) 승강시설(엘리베이터) 설치를 확대해 ‘1역 1동선’ 확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서울교통공사가 교통약자 모바일 서비스 ▲지하철 승강시설 추가 설치 ▲BF인증 획득한 전동차 도입 등 교통약자도 불편 없이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확대해나간다고 19일 밝혔다.
먼저 서울지하철 공식 모바일앱인 ‘또타지하철’에 교통약자를 위한 기능을 새롭게 추가한다.
추가 기능은 ▲도착역 알림 서비스 ▲실시간 열차 운행정보 ▲승강시설 고장알림 서비스(4월 하순 서비스 예정) ▲내 위치 안내 서비스(6월 서비스 예정)다.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9000여개의 블루투스 기기 ‘비콘(Beacon)’을 활용해 정보를 제공한다.
‘도착역 알림 서비스’는 지하철 탑승 후 내릴 역을 앱에 등록하면 ‘비콘’이 열차위치를 실시간으로 자동 파악해 해당 역에 도착 시 휴대폰 문자‧음성을 통해 알려준다.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구간(1~8호선) 뿐 아니라 코레일(한국철도공사) 구간도 이용할 수 있다.
‘내 위치 안내 서비스’는 역사 내 주요 시설물을 안내하는 서비스다. 개찰구에 서면 “00역 타는 방향”이라고 문자‧음성으로 알려주거나 역내 화장실, 출구 위치‧방향 등을 알려준다. 시청각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역내 승강시설(엘리베이터) 확대를 통해 ‘1역 1동선’ 확보에도 최선을 다한다. 올해는 6호선 상수역과 3호선 충무로역, 두 곳에 승강시설을 설치한다.
‘1역 1동선’은 외부 출구(지상)부터 승강장까지 교통약자가 별도의 도움 없이 승강시설을 이용해 지하철을 탑승할 수 있는 동선을 말한다.
특히 공사는 BF(Barrier Free)에 대한 고려 없이 설계된 70년대 지하철 역사의 경우 설치에 난항을 겪고 있지만 역사 구조 변경, 엘리베이터 규격 조정, 관련법 개정 등을 통해서라도 최대한 승강설비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
미확보 지하철역 22곳 중 12곳(강동, 종로3가, 구산, 봉화산, 상월곡, 새절, 청담,광명사거리, 수락산)은 설계가, 6곳(청량리, 용답, 충무로, 교대, 명동, 마천)은 각각 진행 중이다. 공사가 4곳(까치산, 상일동, 대흥, 신설동)도 지속적으로 검토 중이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BF)은 보행이 불편한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포함한 모든 시민이 특정시설이나 장소로 이동·접근‧이용 시 불편 없이 이동할 수 있는 쾌적한 생활환경을 말한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 ‘15년 서울시의 ‘장애인 이동권 선언’에 발맞춰 지속적으로 노력한 끝에 지하철 승강시설 확보율을 87.7%(277개 역사 중 240개)(‘15.12)에서 92.2%(283개 역사 중 261개)까지 끌어올렸다.
9호선 2‧3단계(언주~중앙보훈병원), 5호선 하남연장선(강일~하남검단산) 등은 설계 시부터 교통약자를 고려해 건설, BF 인증을 받은 대표적인 사례다. 서울교통공사는 설계완료 예정인 역사의 조속한 설치 추진을 위해 추경 편성을 요청한 상태다.
서울교통공사는 “1역 1동선은 교통약자뿐 아니라 이용 승객 모두에게 필요한 것으로 설치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나 과거 교통약자 배려 없이 건설된 역사 구조에 더해 재정난으로 예산까지 부족하다며 “보편적 이동권 확보라는 측면에서 정부의 지속적 도움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새로 도입하는 모든 전동차는 BF(Barrier Free)인증을 획득한다. 휠체어석, 교통약자석, 수직손잡이 등 교통약자를 고려한 구조를 반영한다.
▲휠체어 이용자가 열차 출입문을 원활하게 탑승할 수 있는지 ▲교통약자용 좌석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는지 ▲안전을 위한 수직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지 ▲교통약자에게 이용 안내 정보를 전달하는 방송장치‧전자문자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는지 등을 고려한다.
2017년 도입돼 운행 중인 2‧3호선 전동차(588칸)는 작년 12월 처음으로 BF 인증을 받았고 올 3월에는 5‧7호선에 도입될 전동차(336칸)가 BF 인증을 받았다.
공사는 서울역‧잠실역 등 45개 지하철역에 청각‧언어장애인을 위한 영상전화기를 설치, 수어통역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영상전화를 통해 수화통역센터, 손말아동센터, 다산콜센터, 정부민원콜센터 등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관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서울교통공사는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를 부탁하는 홍보사업도 진행한다. 20일 장애인의 날에는 교통약자와 관련된 퀴즈 이벤트를 실시하고 역사와 전동차 내 LCD에 교통약자 관련된 홍보도 병행 실시한다. 주요 환승역과 이용객이 많은 역사에서 교통약자에 대한 인식 캠페인도 연다.
올해 하반기에는 8호선 전동차 내 휠체어석 바닥에 ‘동행 ZONE’ 스티커를 부착해 휠체어를 탄 교통약자에게 공간을 양보할 수 있도록 하고 교통약자석 상단에는 다국어 픽토그램도 시범 설치할 계획이다.
교통약자에 대한 의견도 청취한다. 상반기에는 현재 교통약자 서비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인지도‧만족도 등을 조사한다. 하반기에는 교통약자 이동권 증진을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 우수 아이디어를 서비스에 반영할 계획이다.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교통약자가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하고 이동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편의시설 설치를 위한 재정확보와 더불어 시민 여러분들의 따뜻한 배려와 양보가 필요한 만큼 많은 관심과 지원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1역 1동선’은 외부 출구(지상)부터 승강장까지 교통약자가 별도의 도움 없이 승강시설을 이용해 지하철을 탑승할 수 있는 동선을 말한다.
특히 공사는 BF(Barrier Free)에 대한 고려 없이 설계된 70년대 지하철 역사의 경우 설치에 난항을 겪고 있지만 역사 구조 변경, 엘리베이터 규격 조정, 관련법 개정 등을 통해서라도 최대한 승강설비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
미확보 지하철역 22곳 중 12곳(강동, 종로3가, 구산, 봉화산, 상월곡, 새절, 청담,광명사거리, 수락산)은 설계가, 6곳(청량리, 용답, 충무로, 교대, 명동, 마천)은 각각 진행 중이다. 공사가 4곳(까치산, 상일동, 대흥, 신설동)도 지속적으로 검토 중이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BF)은 보행이 불편한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포함한 모든 시민이 특정시설이나 장소로 이동·접근‧이용 시 불편 없이 이동할 수 있는 쾌적한 생활환경을 말한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 ‘15년 서울시의 ‘장애인 이동권 선언’에 발맞춰 지속적으로 노력한 끝에 지하철 승강시설 확보율을 87.7%(277개 역사 중 240개)(‘15.12)에서 92.2%(283개 역사 중 261개)까지 끌어올렸다.
9호선 2‧3단계(언주~중앙보훈병원), 5호선 하남연장선(강일~하남검단산) 등은 설계 시부터 교통약자를 고려해 건설, BF 인증을 받은 대표적인 사례다. 서울교통공사는 설계완료 예정인 역사의 조속한 설치 추진을 위해 추경 편성을 요청한 상태다.
서울교통공사는 “1역 1동선은 교통약자뿐 아니라 이용 승객 모두에게 필요한 것으로 설치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나 과거 교통약자 배려 없이 건설된 역사 구조에 더해 재정난으로 예산까지 부족하다며 “보편적 이동권 확보라는 측면에서 정부의 지속적 도움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새로 도입하는 모든 전동차는 BF(Barrier Free)인증을 획득한다. 휠체어석, 교통약자석, 수직손잡이 등 교통약자를 고려한 구조를 반영한다.
▲휠체어 이용자가 열차 출입문을 원활하게 탑승할 수 있는지 ▲교통약자용 좌석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는지 ▲안전을 위한 수직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지 ▲교통약자에게 이용 안내 정보를 전달하는 방송장치‧전자문자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는지 등을 고려한다.
2017년 도입돼 운행 중인 2‧3호선 전동차(588칸)는 작년 12월 처음으로 BF 인증을 받았고 올 3월에는 5‧7호선에 도입될 전동차(336칸)가 BF 인증을 받았다.
공사는 서울역‧잠실역 등 45개 지하철역에 청각‧언어장애인을 위한 영상전화기를 설치, 수어통역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영상전화를 통해 수화통역센터, 손말아동센터, 다산콜센터, 정부민원콜센터 등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관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서울교통공사는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를 부탁하는 홍보사업도 진행한다. 20일 장애인의 날에는 교통약자와 관련된 퀴즈 이벤트를 실시하고 역사와 전동차 내 LCD에 교통약자 관련된 홍보도 병행 실시한다. 주요 환승역과 이용객이 많은 역사에서 교통약자에 대한 인식 캠페인도 연다.
올해 하반기에는 8호선 전동차 내 휠체어석 바닥에 ‘동행 ZONE’ 스티커를 부착해 휠체어를 탄 교통약자에게 공간을 양보할 수 있도록 하고 교통약자석 상단에는 다국어 픽토그램도 시범 설치할 계획이다.
교통약자에 대한 의견도 청취한다. 상반기에는 현재 교통약자 서비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인지도‧만족도 등을 조사한다. 하반기에는 교통약자 이동권 증진을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 우수 아이디어를 서비스에 반영할 계획이다.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교통약자가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하고 이동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편의시설 설치를 위한 재정확보와 더불어 시민 여러분들의 따뜻한 배려와 양보가 필요한 만큼 많은 관심과 지원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슬기 기자 (lovelys@ablenews.co.kr)
- 이전글질병청, 중증장애인 바리스타 기술공무직 채용 21.04.20
- 다음글ETRI, 청각장애인 병원출입 돕는 아바타 수어 개발 21.04.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